반응형

JSP/JAVA-Script/Servlet을 사용하다보면

 

JSP페이지에서가 아닌 서블릿에서 데이터핸들링하다가 경고창을 띄워주게 하고싶을때가 있다

그럴때 사용할수 있는 것이

Servlet에서 PrintWriter를 사용하여 HTML형식으로 출력하는 방법이다.

 

 

response.setCharacterEncoding("UTF-8");
response.setContentType("text/html; charset=UTF-8");

PrintWriter out = response.getWriter();

out.println(""); 
out.close();
이렇게 하면 서블릿에서도 경고창을 띄워줄수있다
반응형

'IT관련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미지 파일 미리보기 기능구현  (0) 2014.08.21
PrintWriter 사용시 인코딩 (한글깨짐)  (0) 2014.06.21
SELECTBOX OPTION SCRIPT  (0) 2014.06.13
블로그 이미지

Mr.비타민

,
반응형

PrintWriter out = response.getWriter();

를 사용할때 페이지자체가 한글깨짐현상이 발생을 하게된다.

해결방법으로 간단하게

 

response.setCharacterEncoding("UTF-8");
response.setContentType("text/html; charset=UTF-8");

를 위에 코딩해준후에

 

out.println("내용");

 

을 사용하게되면 페이지가 한글이깨지않는다.

반응형

'IT관련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미지 파일 미리보기 기능구현  (0) 2014.08.21
Servlet alert 사용  (0) 2014.06.21
SELECTBOX OPTION SCRIPT  (0) 2014.06.13
블로그 이미지

Mr.비타민

,
반응형


1. jQuery로 선택된 값 읽기

 

$("#selectBox option:selected").val();

$("select[name=name]").val();

 

2. jQuery로 선택된 내용 읽기

 

$("#selectBox option:selected").text();

 

3. 선택된 위치

 

var index = $("#test option").index($("#test option:selected"));

 

4. Addoptions to the end of a select

 

$("#selectBox").append("<option value='1'>Apples</option>");

$("#selectBox").append("<option value='2'>After Apples</option>");

 

5. Addoptions to the start of a select

 

$("#selectBox").prepend("<option value='0'>Before Apples</option>");

 

6. Replaceall the options with new options

 

$("#selectBox").html("<option value='1'>Some oranges</option><option value='2'>MoreOranges</option>");

 

7. Replaceitems at a certain index

 

$("#selectBox option:eq(1)").replaceWith("<option value='2'>Someapples</option>");

$("#selectBox option:eq(2)").replaceWith("<option value='3'>Somebananas</option>");

 

8. 지정된 index값으로 select 하기

 

$("#selectBox option:eq(2)").attr("selected", "selected");

 

9. text 값으로 select 하기

 

$("#selectBox").val("Someoranges").attr("selected", "selected");

 

10. value값으로 select 하기

 

$("#selectBox").val("2");

 

11. 지정된 인덱스값의 item 삭제

 

$("#selectBox option:eq(0)").remove();

 

12. 첫번째 item 삭제

 

$("#selectBox option:first").remove();

 

13. 마지막 item 삭제

 

$("#selectBox option:last").remove();

 

14. 선택된 옵션의 text 구하기

 

alert(!$("#selectBox option:selected").text());

 

15. 선택된 옵션의 value 구하기

 

alert(!$("#selectBox option:selected").val());

 

16. 선택된 옵션 index 구하기

 

alert(!$("#selectBox option").index($("#selectBox option:selected")));

 

17. SelecBox 아이템 갯수 구하기

 

alert(!$("#selectBox option").size());

 

18. 선택된 옵션 앞의 아이템 갯수

 

alert(!$("#selectBox option:selected").prevAl!l().size());

 

19. 선택된 옵션 후의 아이템 갯수

 

alert(!$("#selectBox option:selected").nextAll().size());

 

20. Insertan item in after a particular position

 

$("#selectBox option:eq(0)").after("<option value='4'>Somepears</option>");

 

21. Insertan item in before a particular position

 

$("#selectBox option:eq(3)").before("<option value='5'>Someapricots</option>");

 

22. Gettingvalues when item is selected

 

$("#selectBox").change(function(){

           alert(!$(this).val());

           alert(!$(this).children("option:selected").text());

});


출처 : http://blog.daum.net/twinsnow/124

반응형

'IT관련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미지 파일 미리보기 기능구현  (0) 2014.08.21
Servlet alert 사용  (0) 2014.06.21
PrintWriter 사용시 인코딩 (한글깨짐)  (0) 2014.06.21
블로그 이미지

Mr.비타민

,
반응형


안드로이드 개발을 하다보면 화면전환이 기본설정으로만 되어 있어서 밋밋함이 느껴질때가 많다.

그래서 좀 세련되면서도 이쁘고 깜찍하게(?).... 애니메이션효과를 넣을 수가 있다.


액티비티를 Intent에 담아서 전환할때 한줄소스와 애니메이션 xml파일만 있다면 너도 나도 멋지게 액비티비 전환을 구현가능하다.


일단 기본적으로 

Intent intent = new Intent(getApplicationContext(), FirstGame.class);
startActivity(intent);


기본적인 액티비티 전환방법이다!! 여기에다가 overridePendingTransition메소드 하나만 넣어주게되면 A->B로 전환될때 애니메이션이 들어가게된다.

 
Intent intent = new Intent(getApplicationContext(), FirstGame.class);
startActivity(intent);
overridePendingTransition(R.anim.fade, R.anim.cycle_7);


fade는 희미하게 조금씩 밝아지면서 cycle은 A->B로 갈때와 B->A로 갈때 모두 적용하게 만들수 있다. 

 애니메이션 xml은 파일은 첨부에다가 넣어두겠다!


xml폴더에 있는 효과들은 아마 영어를 해석한다면 사용하는데 큰 무리가 없을 것이다.

폴더의 위치는 res폴더에 넣어서 리소스로서 사용하면 된다.



anim.zip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Mr.비타민

,
반응형

안드로이드 어플을 개발하다보면 진동효과를 사용하고 싶을때가 있다.


기본적으로 모바일기기이다 보니 사운드효과보다는 손으로 잡고잇기에 진동효과가 더 감지하는 데에는 좋다.


이미 안드로이드에서는 그 방법에 대한 클래스가 만들어져있으므로 우리는 객체를 만들고 사용하기만 하면 된다.


Vibrator라는 클래스로부터 객체를 만들어서 거기에 맞는 사용법에 따라 사용하면된다.

사용법은 간단하다.!!!


아래처럼 진동값

Vibrator vibe = (Vibrator) getSystemService(Context.VIBRATOR_SERVICE);   

vibe.vibrate(값);                                                   //( 값 / 1000)초 동안 진동이 울린다.     

//vibe.vibrate(패턴, 0)                                          //패턴(진동,무진동)에 맞게 설정가능


기본적인 소스사용법은 이렇지만 빼먹으면 안돼는 설정이 있는데

AndroidManifest.xml에서 permission권한을 주어야한다.

<uses-permission android:name="android.permission.VIBRATE"></uses-permission>


이렇게 설정이 완료되면 어플에서도 개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Mr.비타민

,
반응형

Thread를 이용하여 타이머를 만드는 방법중인 하나인 (마지막시간-시작한시간)을 계산하여 출력하는 방법을 사용해보려고한다.

 

Thread t = new Thread(new Runnable() {
	public void run() {
         //첫 시작한 현재시간
		final long start = System.currentTimeMillis();
         //시간포맷팅을 위한 포맷설정
		final SimpleDateFormat sdf = new SimpleDateFormat("mm:ss:SSS");
		
		while (!(t.isInterrupted())) {
			runOnUiThread(new Runnable() {
				public void run() {
                    //쓰레드가 돌때마다 계속 현재시간 갱신
					long end = System.currentTimeMillis();
                    //진행된시간을 계산하여 포맷에 맞게 TextView에 뿌리기
					dc.setText(sdf.format(end - start).substring(0, 8));
				}
			});
            //0.01초마다 Thread돌리기
			SystemClock.sleep(10);
		}
	}
});
t.start();
 이렇게 하게되면 00:00:00 의 형식으로 뷰에 뿌릴수가 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Mr.비타민

,
반응형

흔히 Java를 사용하다가 안드로이드로 넘어오게되면 Thread.stop(), Thread.destroy가 안먹히게 된다.

 

그래서 안드로이드에서는 interrupt()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것마저 적용이 안될때가 있다.

 

그럴때는 Thread의 isInterrupt()를 while의 조건으로 넣어주면 interrupt()메소드를 실행했을때 멈추게 할수 있다.

 

Thread t = new Thread(new Runnable() {
	public void run() {
		while (!(t.isInterrupted())) {//Interrupt메소드가 호출되면 중지
			runOnUiThread(new Runnable() {
				public void run() {
					//Thread로 UI를 변경하고자한다면 
				}
			});
			SystemClock.sleep(10);
		}
	}
});
사용하고자하는 곳에서 Interrupt()를 호출하게 된다면 중지되게 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Mr.비타민

,
반응형


1. JDK 설치하기

2. 안드로이드 SDK 설치하기


----------------------------------------------------------------------------

2. 안드로이드 SDK 설치하기


안드로이드 SDK에는 개발에 필요한 API와 에뮬레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최근 안드로이드SDK에는 이클립스도 포함되어 있어서 따로 이클립스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Android SDK-Bundle이라고해서 기본적으로 이클립스에 셋팅해야할 부분이 자동적으로 다되어있다.

http://developer.android.com/sdk/index.html

 

자신의 OS버전에 맞는것을 선택후 다운로드!!



압축을 풀고 이클립스 폴더에있는 이클립스를 실행시킨다.!

처음에뜨는 workspace는 작업할 위치로 설정해주면되고, 실행하여 들어가게되면

위에 메뉴아이콘중에 빨간표시되있는것을 선택하면 안드로이드 디바이스 버전에 맞게 API를 설치할수있다.



원하는 버전을 다운받은후! New - Android Project 를 만들어서 개발하면 된다!

반응형

'IT관련 > Mobile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드로이드&웹앱&모바일웹앱 작업환경구축(JDK)  (0) 2014.05.16
블로그 이미지

Mr.비타민

,
반응형


1. JDK 설치하기

2. 안드로이드 SDK 설치하기


------------------------------------------------------------------------

1. JDK 설치하기


안드로이드는 Java Development Kit인 JDK를 사용하기때문에 꼭 필요한 툴입니다.

http://www.oracle.com/technetwork/java/javase/downloads/index.html

위 주소로 가서 JDK를 자신의 OS에 맞게 설치하여야합니다.




JDK를 받고 사용자지정폴더에 설치하면 JDK설치는 끗~!

다음으로 환경변수설정이 남았습니다.


환경변수설정을 위해서는 내컴퓨터->시스템속성->고급시스템설정->고급탭의 환경변수를 선택하면됩니다.




JAVA_HOME과 JRE_HOME이 없다면 새로만들기 / 있다면 편집을 선택하셔서 입력해주면된다!

JAVA와 JRE가 버전 및 설치경로에 따라 달라질수 있으니 본인의 경로를 넣어주면 됀다.


Path는 JAVA => %JAVA_HOME%\bin;    /   JRE => %JRE_HOME%\bin;  을 추가하면 된다.

이로서 자바설정은 끗!

반응형

'IT관련 > Mobile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드로이드&웹앱&모바일웹앱 작업환경구축(SDK)  (0) 2014.05.16
블로그 이미지

Mr.비타민

,
반응형

안드로이드에서 서비스(Service)는 화면없이 동작하는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액비티비(Activity)는 화면이 종료되면 응용프로그램이 작동하지않지만 서비스는 백그라운에서 실행되기때문에 화면과 관계없이 동작한다.

일반적으로 서비스는 onStartService()로 요청을 받고 onCreate(), onStartCommand()가 기본적으로 실행되어 서비스가 계속적으로 백그라운드에서 돌게 된다. 서비스 중지 요청을 받게되면 onDestroy()가 호출되어 서비스가 종료되게 된다.

이 서술에 관한 내용은 다음 그림과 같다. 

왼쪽은 데몬형식이고, 오른쪽은 원격호출인터페이스 서비스의 경우이다.





Mservice.java

public class Mservice extends Service{
	@Override
	public IBinder onBind(Intent intent){
		return null;
	}
	@Override
	public void onCreate(){
		android.util.Log.i("서비스 테스트", "onCreate()");
		super.onCreate();
	}
	@Override
	public void onDestroy(){
		android.util.Log.i("서비스 테스트","onDestroy()");
		mp.stop();
		super.onDestroy();
	}
	@Override
	public void onStartCommand(Intent intent, int flags, int startId){
		android.util.Log.i("서비스 테스트","onStartCommand()");
		mp = MediaPlayer.create(this. R.raw.song1);
		mp.setLooping(true);
		mp.start();
		return super.onStartCommand(intent, flags, startId);
	}
}


MainActivity.java
public class MainActivity extends Activity{
	Intent intent;
	Button btnStart, btnStop;
	@Override
	public void onCreate(Bundle savedInstanceState){
		super.onCreate(savedInstanceState);
		setContentView(R.layout.main);
		setTitle("서비스 테스트 예제");

		intent = new Intent(this, Mservice.class);
		btnStart = (Button)findViewById(R.id.btnStart);
		btnStop = (Button)findViewById(R.id.btnStop);

		btnStart.setOnClickListener(new View.OnClickListener(){
			public void onClick(View v){
				startService(intent);
				android.util.Log.i("서비스 테스트","startService()");
			}
		});
		btnStop.setOnClickListener(new View.OnClickListener(){
			public void onClick(View v){
				stopService(intent);
				android.util.Log.i("서비스 테스트","stopService()");
			}
		});
	}
}
Service가 시작될경우는 startService()를 Service가 정지될경우 stopService()를 넣으면된다. LifteCycle은 startService()->onCreate()->onStartCommand()->stopService()->onDestroy() 순이 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Mr.비타민

,